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정대성 교수팀, 플렉서블 패널 성능 높이는 박막트랜지스터 전략 [“고순도 소재 박막 양면 이용 가능…반도체 성능 획기적 향상”]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접었다 펼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을 이용한 전자제품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 플랙서블 패널에는 얇은 막으로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가 내장돼 있다. 박막트랜지스터는 빛을 켜고 끄는 스위치 같은 역할을 하는데, 얼마나 전하의 이동이 빠른지? 작동이 안정적인지? 생산 2023-02-06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단일분자에 ‘이불 덮어’ 생명의 기원 밝힐 실마리 찾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1나노미터 단일분자 자세 변화 관측 성공] [“향후 난치병 원인·치료법 개발 연구에 적용 기대”] 약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단일분자는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약 100nm 크기의 코로나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생각하면 단일분자 관측이 얼마나 어려 2022-08-17382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세포’처럼 촉매 반응도 정밀하게 조절한다 [이인수 교수팀, 자기 물질 촉매와 플라즈몬 촉매 합친 나노반응기 개발] [“단계별 촉매 반응을 원격으로 조절…95% 수율의 시남알데하이드 생성”] 우리가 가만히 있을 때도 몸속 세포는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다. 세포에서는 다양한 화학반응이 잇달아 일어나는데, 반응의 각 단계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조절되면서 생명이 유지된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2022-08-1630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라, 들어갔나?” 얇디 얇은 렌즈로 내시경 불쾌감 확 줄인다 [한국·독일·호주 공동연구팀, 무색수차 초박막 메타렌즈와 결합한 메타 광섬유 개발] [“이미지 선명도 높이고, 부피 줄이고…내시경 불쾌감 해소 기대”] 종합건강검진을 할 때 빠질 수 없는 위 내시경 검사. 신체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선 몸속으로 카테터를 삽입해야 하는데, 이때 느껴지는 불쾌감과 통증 때문에 내시경 검사를 두려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빛을 전 2022-08-11298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대사질환 잡는 단백질, 치매도 잡는다? [POSTECH-노브메타파마 공동연구팀, PPAR 전사인자 활성화 물질 개발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 가능성 열어] 몇 해 전 방영했던 인기 드라마 ‘눈이 부시게’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주인공이 등장해 많은 사람의 마음을 울렸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고령화 사회에서 발병률이 늘고 있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드라마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치 2022-08-10276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힘과 속도’ 두 마리 토끼 한 번에 잡는 인공 근육 나올까 [박문정·손창윤 교수팀, 기계적 강도·이온 전도도 동시에 높인 이종 관능기 고분자 전해질 개발] [“강한 힘 내면서도 반응 속도 빠른 인공 근육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어”] 미국의 액션 영화 ‘퍼시픽 림’을 보면 거대한 로봇 ‘예거’가 등장해 정체 모를 괴물로부터 인류를 구하기 위한 전투를 펼친다. 생체를 모방한 인공 근육이 탑재된 이 로봇은 강한 힘과 2022-08-09254 연구성과 수학 김진수 교수, ‘베일에 싸인’ 세포 활성화의 비밀 밝혔다 [韓·美 공동연구팀, 확률 모델로 뉴클레오솜의 활동 원리 예측] [“수학적 모델로 예측 후 실험 통해 검증”…국내 수학자 활약 돋보여] 드라마 ‘유미의 세포들’에서는 주인공 유미의 모든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들의 모습이 나온다. 일할 때나 중요한 대화를 할 때 나오는 ‘이성세포’뿐만 아니라 ‘사랑세포’, ‘출출세포’까지, 때에 따라 등장하는 귀여 2022-08-0833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홀로그램이 ‘매의 눈’으로 빛 감시한다 [노준석 교수팀, 메타 홀로그램 이용해 물질의 빛 노출 여부 가려내는 라벨·포장 기술 개발] 작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접종 전 상온에 노출됐던 백신이 폐기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백신을 비롯한 의약품은 적절하게 보관되지 않으면 변질될 위험이 있어 생산·보관 과정에서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빛에 노출되면 백신의 효능이 떨어질 수 있어, 햇빛 노 2022-07-21361 연구성과 전자 이병훈 교수팀, 적은 전력으로도 빠르게 돌아가는 ‘반도체 회로’ 나왔다 [이병훈 교수팀, 반양극성 스위치 신소자 이용해 삼진 회로 구현] [“기존 회로 대비 반도체 칩의 전력 소모 크게 줄여”] 매일 꼭 한 번은 충전해야 하는 휴대전화. 이는 휴대전화의 기능이 고도로 발달하면서 소모되는 전력량 역시 늘어난 탓이다.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슈퍼컴퓨터 등 막대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선 이에 상응하는 전력이 필요 2022-07-181,090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촉매 효율 좌우하는 ‘또 다른’ 비밀은? [POSTECH·중국 화남이공대 공동연구팀, 글리세롤의 변환 효율 높이는 촉매 비밀 밝혀] [“촉매 활성에 금속뿐만 아니라 수소·산소가 영향 미쳐”] 폐식용유를 유용한 자동차 기름으로 바꾼 바이오디젤은 폐기물 처리와 연료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는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디젤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 과정에서 생겨나는 글리세롤 또 2022-07-13281 연구성과 환경 이기택·김자명 교수팀, ‘물먹는 하마’처럼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이기택·김자명 교수팀, 북동중국해 해역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 흡수 기작 밝혀] [“여름엔 식물 플랑크톤, 겨울엔 매서운 바람이 이산화탄소 줄여”] 자취생의 천적인 습기. 특히 장마철과 같이 습한 날씨에는 옷장에 꿉꿉한 냄새가 진동하기 마련이다. 이때 ‘물 먹는 하마’를 넣어두면 한층 상쾌하게 옷장을 관리할 수 있다. ‘물 먹는 하마’가 습기를 흡수하듯이, 2022-07-12504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