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세계가 인정한 K-재생의료!” POSTECH 장진아 교수, 한국인 최초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 수상 [재생의료·생체재료 분야 연구 국제 학계 인정받아… 美 하버드의대 Wei Tao 교수와 나란히 선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젊은 연구자상(Biomaterials Award for Young 2025-01-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폐암 치료의 새로운 전환점, 홍합에서 영감을 얻다 [POSTECH · 경북대, 점막 접착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흡입형 폐암 치료제 개발] 최근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의공학전공)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정연수 박사 연구팀은 경북대 첨단기술융합대학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해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단백질을 활용한 폐암 치료용 흡입형 생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폐암은 세계에서 가장 2025-01-06213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그래핀과 초전도체의 만남, 초전도 기술의 날개를 달다 [POSTECH · 日NIMS, 2차원 초전도 접합 기술로 차세대 전자기기 개발 가능성 열어]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 장성 연구원 연구팀이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와타나베 켄지(Kenji Watanabe) 박사, 타니구치 타카시(Takashi Taniguchi) 박사 연구팀과 협력해 그래핀과 초전도 전극의 접합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 2024-12-31263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신경계와 면역계의 연결고리, 난치병 치료의 뉴패러다임 제시 [한세광 교수팀, 광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 제시] 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한세광 교수, 김성종 박사 연구팀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존 라저스(John Rogers) 교수, POSTECH 생명과학과 김종신 교수와 함께 광(光) 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논문은 최근 재료 분야 국 2024-12-31188 대학소식 POSTECH 김홍윤 · 김래언 씨, ‘2024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창의와 열정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한 청년 100인 선정]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홍윤 · 친환경소재대학원 박사과정 김래언 씨가 지난 20일 ‘2024 대한민국 인재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인재상’은 국가의 이름이 달린 유일한 인재상으로 창의와 열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와 성취를 이루고, 사회의 귀감이 된 인재를 선정해 2024-12-31710 대학소식 POSTECH 최윤성 명예교수,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차기 소장으로 선임 최윤성 수학과 명예교수가 기초과학연구원(IBS) 부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소장에 선임됐다. 26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IBS는 지난 9일 서울 중구에서 제78회 임시이사회를 열고 재적이사 과반수의 득표를 받은 최 교수를 제7대 수리연 소장에 선임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승인도 최근 이뤄졌으며, IBS 원장의 최종 임명은 내년 1월 초로 예상된다. 임기 2024-12-30299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스트레쳐블 기술 신축성의 비밀, 색으로 풀어내다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 POSTECH, ‘서펜타인’ 구조 실시간 분석 및 시각화 기술 개발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연구팀(박사과정 한상현, 신준혁, 박지윤, 석사과정 양학준, 남승민 박사)이 스트레쳐블(stretchable) 기술의 핵심인 ‘서펜타인(Serpenti 2024-12-24215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 교수팀, 패혈증을 이겨내는 힘, 가장자리 B림프구에서 찾다 [이윤태 교수팀, B림프구 형성 메커니즘 및 패혈증 사이의 상관관계 규명]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 통합과정 박종석 씨 연구팀은 패혈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세포인 ‘가장자리 B림프구’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며, 패혈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 2024-12-24136 연구성과 친환경소재 홍지현 교수팀, “산소를 잡아라!”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늘린 비결 [홍지현 교수팀, 산소 방출 억제를 통한 망간계 양극재의 장수명 구현]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홍지현 교수, 임국현 박사 연구팀은 차세대 리튬이온배터리(Lithum-ion-battery, LIB)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과잉층상구조소재(LLO)*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개발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에너지 분야 학 2024-12-24177 대학소식 POSTECH 박상기 · 노용영 · 장진아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박상기 교수,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의 연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박상기 교수는 ’생명해양‘ 부문, 노용영 교수는 ’정보·전자‘ 부문, 장진아 교수는 ’융합‘ 부문에서 각각 우수성과로 인정받았다. ‘국가연구개발 우수 2024-12-20235 연구성과 화공 이상민 교수팀, 인류를 위협하던 바이러스, 인류의 미래를 열다 [이상민 교수·2024 노벨화학상 수상자 David Baker 교수 공동 연구 ‘Nature’ 게재] [바이러스 모방한 나노입자 AI 설계 연구 통해 유전자 치료 기술 개발의 전환점 제시] 화학공학과 이상민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워싱턴대(University of Washington)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교수와 공동으로 A 2024-12-19475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