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융합 김기현 교수팀, 안구 표면 질환 정밀 진단을 위한 결막 술잔세포 검사, 이제 사람에서도 가능 [POSTECH·서울대병원, 사람의 안구 결막 술잔세포 촬영하는 기술 최초 개발]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기현 교수와 기계공학과 이중빈 · 김성한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사람의 눈 결막에 있는 술잔세포(conjunctival goblet cell, 이하 CGC)를 신속하게 검사하는 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2024-09-30165 연구성과 환경 권세윤 교수팀, 지구의 끝, 북극을 위협하는 수은을 쫓아라 [POSTECH · 극지연구소 공동 연구팀, 북극 생태계 위협하는 수은의 새로운 경로 규명] 환경공학부 권세윤 교수 · 통합과정 임승현 씨 연구팀이 극지연구소 연구팀과의 연구를 통해 북극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이 높은 농도의 수은에 노출되는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북극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 2024-09-30153 대학소식 [POSTECH 유니버시티 프로페서 시리즈②] 끊임없는 노력이 만든 유기반도체 명문연구실 화공 조길원 교수, 유기반도체 시대가 그의 이름을 기억한다 소년은 자신의 조상이 궁금했다. 가계도를 따라 올라가며 보이는 증조(曾祖)와 고조(高祖), 현조(玄祖)를 넘어 수백, 수천 년 전의 이름 없는 조상까지 호기심의 대상이었다. 과연 그들은 어떤 모습으로 살아왔으며, 또 어떤 사건들을 겪었는지 궁금했다. 책을 통해 알 수 있는 지식에 자신의 상상력을 더해가며 자신만의 시대상을 그려가는 작은 고고학자였다. 청년은 2024-09-261,146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불소 없는 배터리, 환경과 성능 모두 지킨다 [POSTECH · 한솔케미칼, 환경과 성능 모두 지키는 비불소계 배터리 기술 개발] 화학과 박수진 교수 · 통합과정 남서하 씨 연구팀은 한솔케미칼의 이차전지소재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불소를 전혀 포함하지 않은 새로운 바인더와 전해질을 개발해 환경친화적이며 성능도 뛰어난 배터리 기술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 2024-09-25288 대학소식 POSTECH, 데이터·프로세스 융합 연구 본격 나서 [24-25일, ‘반 데르 알스트 데이터 및 프로세스 과학 연구센터’ 개소 및 워크샵 개최] POSTECH이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핵심 기술인 데이터 및 프로세스 융합 연구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오늘 24일, POSTECH은 캠퍼스 내 체인지업그라운드에서 ‘반 데르 알스트 데이터 및 프로세스 과학 연구센터(van der Aalst Data & Pro 2024-09-25172 대학소식 포항 시민과 함께하는‘성공 창업을 위한 원데이 클래스’ 열린다 [POSTECH ·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 10월 11일 예비 창업가 · 스타트업 위한 프로그램 개최] [기업가정신, 재무, 세무 · 회계, 노무 등 창업 실무 중심 원데이(1DAY) 교육 진행] POSTECH과 포항창조경제혁신센터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성공 창업을 위한 원데이 클래스’가 다음 달 11일 POSTECH 캠퍼스 내 체인지업 2024-09-23150 연구성과 화공/친환경소재 김원배 교수팀, 그린 암모니아 위해서는 산소를 비워라 [김원배 교수팀, 산소 빈자리 조절과 이종 원소 도핑 통해 촉매 성능 향상] 우리는 종종 물건이나 아이디어로 넘쳐날 때, 진정한 아름다움과 의미를 놓치며, ‘비움’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기도 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처럼 비움의 미학을 활용해 ‘산소의 빈자리’를 만들어 그린 암모니아 생산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했다. 화학공학과 · 친환경소 2024-09-23210 대학소식 뜨거운 과학과 스포츠 대결, 올해의 승자는? [제21회 KAIST-POSTECH 학생대제전, 오는 20~21일 POSTECH서 열려] POSTECH과 KAIST(총장 이광형)의 미래 과학 리더들이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간 POSTECH에서 두뇌와 체력을 겨루는 치열한 대결을 펼친다. 올해의 승자는 누가 될지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AIST-POSTECH 학생대제전(이하 카포전)’은 두 대 2024-09-20379 연구성과 생명 황인환·김민성 교수팀, 지구의 온실가스, 바다로 끌어안다 [POSTECH·㈜바이오컴 연구팀, 이산화탄소 바다에 녹여 지구 온도 낮추는 혁신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황인환 · 김민성 교수, 마두 쿠마리(Madhu Kumari) 박사 연구팀은 POSTECH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인 ㈜바이오컴 류봉열 대표, 이준호 박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대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바다에 녹이고, 바닷속의 금속 이온과 탄산염 형성을 2024-09-19345 대학소식 Apple 제조업 R&D 지원센터, ‘스마트 제조 포럼’ 개최 [9월 24~25일,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주제로…누구나 참석 가능] Apple 제조업 R&D 지원센터는 오는 24일부터 이틀간 POSTECH에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주제로 ‘스마트 제조 포럼(Smart Manufacturing Forum)’을 개최한다. 정부의 2023년 9월 ‘신(新) 디지털 제조혁신 추진전략’에 발맞추어 중소기업들의 디지털 2024-09-19153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