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센터 [Photo Essay] 4년 만에 다시 피어오르는 캠퍼스 문화1. 새로운 오래된 것, 통집 2.05월 10일(수), 코로나19 기간 동안 휴업했던 POSTECH 통나무집이 리모델링을 거쳐 “통집 2.0”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문을 열었습니다.통나무집은 1989년 10월에 ‘한2023-05-24READ MORE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기를 기회로!“ 전화위복의 물리학[POSTECH·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빛’은 아주 민감하고 취약하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튕겨져 나올 수 있고, 열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빛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光) 손실’이라고 한다.빛을 이용하는 광학소자는 크기가2023-05-22READ MORE 대학소식 수학 최윤성 교수, 2023년도 대한수학회 교육상 수상수학과 최윤성 교수가 ‘2023년도 대한수학회 봄 연구발표회’에서 교육상을 수상했다. ‘대한수학회 교육상’은 다년간 수학 관련 교육이나 저술 활동 등을 통하여 인재 양성에 크게 공헌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상이다.최 교수는 서울대에서 수학전공 학사학위를, 미국 로체스터 대학(University of Rochester)에서 함수해석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1988년부터 35년간 P2023-05-17READ MORE 대학소식 POSTECH 소통과 공론 연구소, 2023 정기 심포지엄 개최소통과 공론 연구소에서 2023년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심포지엄은 26일(금) 오후 1시부터 국제관에서 진행되며, 온라인으로도 생중계된다.이번 심포지엄은 “AI시대, 대학 융합교육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인류세와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데이터 사이언스, AI 언어모델 등 각 분야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이 발표를 맡았다.인문사회학부 임경순 교수의 기조 강연을 시작으로2023-05-17READ MORE 연구성과 화공·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팀, “해조류+가시광선=인공배양육 잉크?”[차형준 교수팀, 해조류 활용 고해상도 바이오잉크 개발]몇 년 전, 프랑스의 한 일간지에서 ‘지구를 위해 해조류를 요리하는 한국’이라는 기사를 보도한 적이 있었다. 물컹거리는 식감 탓에 서양인들이 거의 먹지 않는 해조류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육류 생산과 비교했을 때 탄소 배출량이 현저히 낮아 단순히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제는 해조류로 배2023-05-17READ MORE 행사안내 May17International Symposium on Integrated Medical Solutions 2023 May15제16회 ISDS-C/G monthly Forum (ICF) 창업, 나로부터 화성까지 May122023년 소통과 공론 연구소 정기 심포지엄 May09강은호 前 방위사업청장 초청 특별 강연 – 방위산업현황과 비전 Apr26공감과 설득을 위한 글쓰기 6하 원칙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