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학 박수진 교수팀, 리튬 금속 전지 폭발 문제점 잡고 안전성·성능 높여 상용화 앞당긴다.. [리튬 금속 음극 단점 극복 가능한 복합 보호층 개발]전기차의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성능이다. 한번 충전에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대폭 늘일 수 있길 때문이다. 배터리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올리려는 방안에 대해 세계 각국이 고민 중인 가운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10배 이상 높지만, 폭발의 우려 때문에 상용화할 수 없.. 2019-02-22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전자 홍원빈 교수팀, 소방관의 눈과 귀 되어줄 ‘통신헬멧’ 개발.. [POSTECH-포항남부소방서 무전기 일체형 소방 헬멧 개발]지난해 12월,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참사는 진압 현장에서 노후화된 무전기가 먹통이 되며 ‘골든타임’을 놓쳐 피해를 더 키운 것으로 지적됐다. 2층에 구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많다는 정보가 무전기 고장으로 대원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처럼 화재나 재난 현장에서 무.. 2018-04-18811 화학 김기문 교수팀,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 단분자 관찰 플랫폼 개발.. [단백질, RNA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단분자 검출 · 분석 가능]생로병사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세포를 분자 단위로 하나하나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세포 구조를 단분자로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꿈이자 숙제다. 하지만 한데 뭉쳐있는 세포들 중에서 단분자 하나를 따로 검출하고 자세.. 2018-03-28758 환경 홍석봉 교수팀, 거울로 대칭되는 한 쌍의 기본유닛들로 만들어진 독특한 구조의 제올라이트 합성 성공.. [새로운 구조의 제올라이트 합성으로 다양하게 활용 전망]제올라이트는 원유정제과정에서 휘발유 및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 생산을 위한 석유화학 촉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주 작은 구멍이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구조체인 제올라이트는 촉매제뿐 아니라 이온 교환제, 분리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핵심 소재다. 특히 이들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 2018-03-19528 기계 임근배 교수팀, 1초 만에 ‘기름만 쏙쏙’ 걷어내는 첨단 방제막 개발.. [멤브레인(막) 통한 고속 대용량 물기름 분리 99%이상의 정확도 보여]바다에 막대한 기름이 쏟아져 바닷물과 섞이거나 각종 화학물질과 기름, 물 등의 여러 액체가 혼합된 산업 유폐수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선 대량의 물과 기름을 잘 분리해 빠르고 정확하게 기름만 걷어내는 기술이 중요하다. POSTECH 연구팀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물기름 혼합물을 연속해서 .. 2018-03-15754 물리 이후종 교수팀, 깨지기 쉬운 ‘양자’상태의 안정성을 높인다.. [단간극(短間極) 수평형 그래핀 초전도접합 첫 실현]꿈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기본 양자 소자를 안정화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다. 양자는 한 개의 입자가 여러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대화하면 막대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하지만 주변과 영향을 주고받아 성질이 쉽게 변하기 때문에 양자 소자가 온.. 2018-02-27653 화학 박문정 교수팀, 파리지옥 닮아 ‘스스로 동작을 제어하는’ 고분자 인공근육 개발.. [초저전력 소프트 액추에이터 개발]대표적인 식충식물 파리지옥은 끈적한 액체로 벌레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다른 식충식물과 달리, 먹이가 덫에 들어오면 스스로 덫을 닫아 먹이를 가둔다. 덫 안에 있는 3개의 감각모 중 2개의 감각모를 건드리면 자동으로 입구를 닫는 원리다. 이런 파리지옥처럼 2개의 자극을 조사하여 그 움직임을 멈출 수 있는 액추에이터(인공근.. 2018-02-26800 화학 김성지 교수팀, 단 5분 만에 빠르고 정확하게 초기 대장암 진단하는 스프레이 나왔다.. [형광·퀀텀닷 이용한 탐사약물로 오류 없이 초기 암 찾아내는 기술 개발식도암, 방광암, 자궁내막암 진단에 응용 가능성 제시]우리나라 사망률 순위에서 위암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대장암,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대장암은 2001년에 비해 15년 만에 73%나 증가했다. 대장암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조기 발견이 힘들기 때문인데 초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은 물론.. 2018-01-29929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선명한 홀로그램으로 철통 보안 가능해진다... [선명도 높이고 효율 높인 가시광 메타표면 제작홀로그램 활용해 다양한 차세대 보안 디스플레이 활용 가능 기대]전 세계의 비밀 요원들이 한 자리에 홀로그램으로 모여 회의를 하고, 주인공이 망토를 두르자 몸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영화 킹스맨, 해리포터 속 홀로그램이나 투명망토를 실현하는 이 기술은 메타표면이 핵심 기술이다. 메타 표면에 반사된 빛이 한 곳에 모.. 2018-01-23555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소화제 ‘버블’로 막힌 혈관 촬영하고 뚫는 스텐트 개발.. [3D프린팅 기술 이용, 스마트 스텐트 상용화 추진]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박사과정 금도희 씨는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와 공동으로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진단·치료용 스마트 스텐트를 개발, 창업경진대회에서 연이어 대상을 수상하며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이나 장기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18-01-22508 화공 이진우 교수팀, ‘증발’ 이용해 6분 만에 충전하는 배터리 만든다.. [계층형 다공성 금속 산화물로 고출력·고용량 전극 개발]홍채나 얼굴인식, 음성인식을 통한 스마트 비서 서비스 등, 스마트폰의 기능은 갈수록 첨단화되어가고 있지만, 기능보다는 다소 속도가 늦은 분야가 있다. 바로, 스마트폰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다. 기능이 고도화될수록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만큼, 용량이 크면서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에 대한 수.. 2018-01-15950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