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박수진 교수팀, 공기 중에서 조립 가능한 배터리 개발 – POSTECH-울산과학대, 대기 중에 불순물 포획하는 다기능성 분리막 개발 – 드라이 룸 없이 공정비 절감하는 배터리 제조 환경 가능성 열어 2020년 노벨 화학상의 영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개발한 인물들에게 돌아갔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소형 IT기기에서 전기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전기 기기의 필수 에너지 원천이 됐다. 최근 미국의 2021-01-28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콘택트렌즈로 당뇨진단”…스마트 헬스케어 렌즈 본격 상용화 [POSTECH-PHI BIOMED-인터로조 연구팀, World Class 300 선정] 눈은 우리 몸속의 변화를 그대로 보여준다. 간이나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눈동자가 노란빛을 띠는 것처럼 모든 장기의 변화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눈의 특성을 반영, 눈에 착용만 해도 당뇨 같은 질병을 바로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콘택트렌즈가 본 2017-07-311,739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생체모방 통한 이산화탄소 자원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자원화 해법, 누에고치에서 찾다] 전 세계가 급격한 기후변화로 시달리고 있다. 이런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는 다양한 원인들이 지적되고 있지만, 특히 ‘온실가스’로 불리는 이산화탄소의 과다한 배출이 큰 비난을 모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인공뼈나 플라스틱 같은 새로운 자원으로 만들고자 하는 2017-07-141,471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북극 온도 상승이 식물 활동성 감소로 이어진다는 사실 처음 밝혀내 [북극 온난화 ‘나비효과’로 곡물 생산 감소] 지구온난화는 빙하소실로 인한 해수면 상승, 제트기류 변화로 인한 기상 이변 등을 불러와 지구 곳곳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뉴욕에서 허리케인을 불러 올 수 있다는 나비효과처럼 북극의 온난화가 미국과 캐나다 지역의 식물 광합성 등 활동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저하 시킨다는 연구 2017-07-11822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슬래그 이용한 리튬이온전지 전극소재 합성기술 개발 [산업 폐기물 슬래그가 휴대폰․전기차 고용량 배터리로?] 철강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 슬래그(slag)의 연간 생산량은 약 4~5억 톤. 이 양은 전 세계 무기 폐기물의 1/3에 달할 정도다. 이런 슬래그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골재 등에 활용되어 왔다. 이런 산업폐기물 슬래그를 스마트폰 속 배터리로 활용하는 기술이 POSTECH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2017-06-281,043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플라스틱 기판에 나노막대 제작 원천기술 개발 플라스틱 기판에서의 빛의 흐름을 통제하여 태양전지나 LED와 같은 광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막대 제작 기술이 개발됐다. 이 고효율 나노막대는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크게 주목 받고 있다. 신소재공학과 이종람 교수, 박사과정 박재용 씨 연구팀은 전기회로들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기판에서 나노막대를 기존보다 수백배 빠르게 제작할 2017-06-15851 연구성과 화공 오준학 교수팀, 개인정보 유출, 하드웨어에서 원천봉쇄 시킨다 [보안 강화된 광통신용 원편광 광센서 개발] 최근 컴퓨터에 침입해 저장된 문서를 모두 암호화해버리고 돈을 요구하는 ‘랜섬웨어’가 퍼지며 컴퓨터 보안이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방화벽이나 보안시스템 업데이트로 이를 대비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해킹으로 인한 보안은 큰 걱정거리 중 하나다. 이런 걱정을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하드웨어에서 원천봉쇄할 수 있는 기술이 2017-06-08880 연구성과 기계 임근배 교수팀, 자연의 아름답고 화려한 구조색을 손쉽게 만들어 낸다! [저비용 용액공정으로 쉽게 구조색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우리가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나비의 아름다운 날개, 주위 환경에 따라 피부색을 바꾸는 카멜레온, 보는 방향에 따라 찬란하게 다른 빛을 발하는 보석, 곤충들의 화려한 색깔 등 자연이 주는 색은 단순히 색소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 이는 나노미터(nm, 10억분의 1m)라는 아주 작은 단위의 입 2017-06-011,441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팀, ‘바이러스’도 볼 수 있는 광학현미경 개발 [초고해상도 가시영역 광활성 원자간력 현미경 개발] 우리가 무언가를 보기 위해서는 물체에서 반사한 빛이 눈으로 들어와야 한다. 그런데 물체의 크기가 빛 파장의 절반보다 작으면 빛은 반사되지 않고 뒤로 돌아가 물체로 보여 주지 않고 통과해 버린다. ‘회절한계’라고 부르는 이 현상 때문에 독감 바이러스 등 수 나노미터(nm)에 불과한 바이러스는 실험에서 흔히 2017-06-011,228 연구성과 물리 김범준 교수팀, 우주 탄생의 비밀 밝힐 힉스 입자, 응집 물질에서 찾았다 [세계 최초로 이차원 양자 자석에서 힉스 입자의 붕괴 과정 관측] 힉스 입자는 신이 모든 생명체에게 생명을 부여하듯 소립자에 질량을 부여해 ‘신의 입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소립자는 힉스 입자의 붕괴를 통해 질량을 갖는다. 때문에 힉스 입자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붕괴 과정의 규명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우주 기원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2017-05-182,211 연구성과 POSTECH, 버려지는 폐열 이용한 발전시스템 상용화 나선다 [미래부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융합 컨소시엄’ 선정 2년간 총액 89억원 투입] POSTECH은 철강산업, 열병합발전, 열화학공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친환경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ICT융합 미이용 에너지 열전발전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열전발전’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기술로 2017-05-161,879 First PagePrevious21222324252627282930NextLast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