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 [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 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에서 동작하는 데다 속도가 느리고 반복적인 동작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에서 기존 플래시 메모리보다 2021-01-14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대학소식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인공지능의 발전과 미래사회’ 포럼 개최 [11월 29일 포항라한호텔서…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 원장, 권호정 연세대 교수 등 전문가 발표]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소장 김승환)는 29일 오후 2시부터 포항 라한호텔(영일대해수욕장 인근)에서 ‘인공지능(AI)의 발전과 미래사회’를 주제로 제7회 미래전략포럼을 개최한다. 이 포럼은 앞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과 같은 수준의 ‘또 다른 지능’으로 발전하 2019-11-28241 대학소식 물리 염한웅·화학 장영태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정 물리학과 염한웅 교수, 화학과 장영태 교수가 국내 과학기술부문 최고 석학기관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하 한림원) 정회원으로 선정됐다. 한림원 정회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며 해당 분야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최우수 석학들을 대상으로 선정된다. 염한웅 교수는 최근 인공지능 시대의 신개념 소자로 기대를 모으는 ‘4진법 소자’ 2019-11-25668 대학소식 생명 조승연 학생, ‘과학책 읽어주는 공대생’ 발간 [한 권으로 읽는 18권의 과학 고전]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나 다윈의 진화론··· 이와 같은 과학자와 과학이론은 흔히 들어보고 익히 알고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그것’에 대해 설명하라고 하면 제대로 알고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과학 고전이 필수 교양서로 꼽히지만 쉽게 손이 가는 베스트 셀러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과학은 어렵다’는 인식 때 2019-11-251,429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교수, 세계 리더와 英왕립화학회 전공입문서 발간 ‘쿠커비투릴과 관련된 거대고리 분자들’ 쿠커비투릴 분야 세계적인 리더·떠오르는 신진 연구자 참여 화학과 김기문 교수(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가 영국 왕립 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의 요청으로 전공입문서 ‘쿠커비투릴과 관련된 거대고리 분자들(Cucurbiturils and Related Macrocycles)’을 편찬했 2019-11-21356 대학소식 윤관호·김경학 대학원생, ‘삼성전기 논문대상’서 나란히 금상·은상 수상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윤관호씨와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김경학씨가 지난 18일 열린 ‘제15회 삼성전기 논문대상’ 시상식에서 나란히 금상과 은상을 받았다. 윤관호 씨는 소자 및 공정기술 분과에서 ‘초소형 다중 컬러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위한 파장분리형 메타표면’을 제목으로 한 논문으로 대상 없는 금상(상금 500만원)을 수상했다. 이 논문은 기존의 다중 컬러 홀로 2019-11-20512 대학소식 환경/화공 최원용 교수,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환경공학부/화학공학과 최원용 교수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로 선정됐다. 정보분석 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이하 클래리베이트)는 ‘웹오브 사이언스(Web of Science)’ 데이터를 기반으로 논문 피인용 횟수를 분석, 분야별 상위 1%에 해당하는 논문들을 가장 많이 발표한 연구자들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Highly 2019-11-20824 대학소식 물리 정우성 교수, 아시아‧태평양 물리학연합회(AAPPS) 최연소 평의원 선출 물리학과 정우성 교수가 아시아‧태평양 물리학연합회(AAPPS) 최연소 평의원에 선출됐다. 아시아‧태평양 물리학연합회는 지난 17일 말레이시아에서 정기이사회를 열고, 정우성 교수를 포함, 16명을 향후 3년간 이 연합회를 이끌어 갈 새 평의원으로 선출했다. 또 정 교수는 내년 1월부터 이 연합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AAPPS 불러틴(AAPPS Bulletin 2019-11-19457 대학소식 POSTECH-농촌진흥청 ‘식물 바이오소재 개발’ 실용화 협력 [15일 업무협약 맺고 공동 연구, 인력 양성 등 교류 추진] POSTECH과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11월 15일 농업과 첨단 융․복합 연구 개발, 인력 양성 등 상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POSTECH 생명공학연구센터는 분자·세포수준에서 난치병 예방, 진단 및 치료 응용기술을 개발하는 분자의학, 바이오매스․바이오소재를 개발하는 식물생명공학, 나 2019-11-18300 대학소식 POSTECH, 중앙일보 대학평가 자연‧공학계열 평가 ‘모두’ 1위 POSTECH이 다시 ‘국내 최정상’ 이공계대학의 위용을 과시했다. 11월 16일 중앙일보는 ‘2019 중앙일보 대학평가’를 통해 POSTECH이 자연계열, 공학계열 평가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 POSTECH이 강점을 보인 것은 바로 학생 창업과 기술이전 분야였다. POSTECH은 2017년과 2018년 평가에서도 기술이전 수익과 산학협력 연 2019-11-166,945 연구성과 기계·융합생명 김기현 교수팀, ‘술잔세포영상법’으로 안구건조증 제대로 진단하다 [세계 최초 결막술잔세포 고화질 생체영상기술 개발] 술잔세포는 점액을 만드는 세포로 눈물이 고르게 퍼지도록 해주어 눈 표면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술잔세포는 안구건조증을 포함한 자가면역질환이나 화학 손상 등과 관련이 있어 술잔세포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눈의 질병 상태를 이해하고,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계공학과·융합생명공학부 2019-11-14562 First PagePrevious21222324252627282930NextLast Page